로 끝나는 두 글자의 단어: 15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59개 세 글자:84개 네 글자:197개 다섯 글자:18개 여섯 글자 이상:17개 모든 글자:476개

  • : (1)눈을 흘겨봄. (2)비방함과 칭찬함.
  • : (1)일의 시초와 끝. (2)맨 끝. 또는 아주 먼 끝. (3)사물이 되어 가는 것을 추측하여 앎.
  • : (1)사헌부에 속한 하례를 이르던 말.
  • : (1)‘파’의 방언
  • : (1)‘연예’의 북한어. (2)‘연예’의 북한어.
  • : (1)재주나 슬기가 매우 뛰어난 사람.
  • : (1)전한의 예서를 후한의 팔분(八分)과 구별하여 이르는 말. (2)곡식이나 풀을 높은 부위에서 베는 것.
  • : (1)중국 당나라의 제8대 황제인 ‘대종’의 본명.
  • : (1)‘송어’의 방언
  • : (1)‘영예’의 북한어.
  • :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 : (1)곡물을 일찍 베는 일. (2)‘조례’의 북한어. (3)학문이나 예술, 기술 따위의 분야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깊은 경지에 이른 정도. (4)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5)중국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제2대 황제인 ‘명황제’의 본명.
  • : (1)‘도자기 공예’를 줄여 이르는 말. (2)도가 높아서 기리는 명성.
  • : (1)임금이 적전에서 추수하는 광경을 친히 관람하던 의식.
  • : (1)매우 뛰어난 기예(技藝).
  • : (1)유한한 욕구를 넘어서서 얻는 큰 기쁨.
  •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2)‘잉어’의 방언
  • : (1)중국 동진의 승려(378~444?). 쿠마라지바의 제자로, 천축(天竺)에 갔다가 돌아와 스승의 불전 한역(漢譯)에 참가하여 법화경, ≪대지도론≫ 따위의 서문을 썼다.
  • : (1)좋은 점이나 착하고 훌륭한 일을 높이 평가함. 또는 그런 말.
  • : (1)후고구려의 건국자ㆍ왕(?~918).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901년에 스스로 왕이 되어 국호를 후고구려라고 하였다. 뒤에 왕건에게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901~918년이다.
  • : (1)‘극예하다’의 어근.
  • : (1)실제로는 없지만 눈에 흰 막이 낀 것같이 잘 보이지 아니하는 병. (2)실속이 없는 명예.
  • : (1)기술과 문예를 아울러 이르는 말. (2)학문, 역수(歷數), 복서(卜筮)에 관한 재주.
  • : (1)고려 후기의 문신(1232∼1286). 자는 선갑(先甲), 호는 연담(蓮潭). 원종 때 일본에 왜구의 침범을 중지시킬 것과 잡혀간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했고, 충렬왕 때 우부승지, 좌승지, 국자감 대사성, 문한 학사를 거쳤다.
  • : (1)‘올케’의 방언 (2)‘상여’의 방언
  • : (1)끌어서 당김.
  • : (1)물건을 만드는 기술에 관한 재주. (2)기능과 장식의 양면을 조화시켜 직물, 염직, 칠기, 도자기 따위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만드는 일. (3)실제보다 높이 평가된 명예.
  • : (1)‘부아’의 방언 (2)눈자위에 흰 점이 생겨 각막 위를 덮기 시작하여 눈동자 전체로 퍼지는 병. 염증을 일으켜 몹시 가렵고 시력이 나빠진다. (3)‘부엉이’의 방언 (4)‘붕어’의 방언
  • : (1)‘효예하다’의 어근.
  • : (1)‘첨예하다’의 어근.
  • : (1)중국 남북조 시대 송(宋)나라 명제 때의 두 번째 연호(472).
  • : (1)초서(草書)와 예서(隷書)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중국 진(晉)나라의 무장(224~284). 자는 원개(元凱). 무제 때 오나라의 왕을 굴복시켜 당양 현후(當陽縣侯)에 봉하여졌다. 저서에 ≪춘추석례≫, ≪춘추좌씨전집해≫ 따위가 있다.
  • : (1)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나다는 뜻으로, 주로 임금이 슬기로움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 : (1)‘처녀’의 방언
  • : (1)돈이나 물품을 주고 명예를 삼.
  • : (1)노인과 어린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곡식이나 나무 따위를 심어 가꿈. (2)견식과 재예(才藝)를 아울러 이르는 말. (3)‘식혜’의 방언
  • : (1)‘누에’의 방언
  • : (1)올벼의 쌀. ⇒규범 표기는 ‘오례’이다.
  • : (1)망설여 일을 결행하지 아니함. (2)일을 결행하는 데 날짜나 시간을 미룸. 또는 그런 기간. (3)소송 행위를 하거나 소송 행위의 효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을 둠. 또는 그런 기간. (4)육예(六藝)를 배움. (5)선조나 어버이가 죽고 뒤에 남은 자손. (6)‘유여히’의 옛말.
  • : (1)기울어져 가는 혈통의 맨 마지막. (2)자신의 세대에서 여러 세대가 지난 뒤의 자녀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무엇이든지 시키는 말에 대하여 공손한 태도로 순종한다는 뜻으로 쓰는 말. (2)풀이 나서 뾰족뾰족하게 자란 모양. (3)몽골 지방에 자리 잡고 살던 고대의 유목 민족. 중국 동진(東晉) 초기에, 선비족에 예속되었다가 5세기 초에는 그 옛 땅을 차지하였으며 555년에 돌궐에 멸망하였다. (4)해가 질 무렵의 어스레한 모양.
  • : (1)‘누에’의 방언
  • : (1)돌림병을 일으키는 병독.
  • : (1)‘육예’의 북한어.
  • : (1)같은 조상의 피를 이어받아 겨레붙이가 되는 관계. (2)혈통을 이어받은 자손.
  • : (1)미리 또는 처음부터.
  • : (1)재주를 시험하여 봄.
  • : (1)여러 가지 예능.
  • : (1)문학과 예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예술로서의 문학을 이르는 말. (3)1949년 8월에 모윤숙과 조연현이 창간한 월간 순수 문예지. 순수 문학을 옹호하였고 신인 추천제를 두어 많은 신인을 배출하다가 1954년 3월에 통권 21호로 종간(終刊)하였다. (4)1959년에 창간한 월간 문예 종합지. 1960년 8월에 통권 8호로 종간하였다. (5)모깃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5~6mm이며,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다. 날개와 다리가 길고 눈은 겹눈이다. 주둥이가 길고 윗입술이 바늘 모양으로 되어 있어 사람이나 가축 따위의 피를 빨기에 알맞다. 수컷은 나무의 진을 빨아 먹는다. 애벌레를 장구벌레라고 하며 동양 각지에 분포한다.
  • : (1)빛나는 영예.
  • : (1)재능과 기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어찌’의 방언
  • : (1)눈동자 속이 수은 방울과 비슷하며, 약간 누런빛으로 변하여 통증이 있고 잘 보이지 아니하게 되는 병.
  • : (1)막아 가리거나 그늘지게 함.
  • : (1)예전에, 집 안에서 부리던 종. (2)‘가위’의 방언
  • : (1)눈병의 하나. 각막에 흰색 구슬 같은 흐리고 탁한 물질이 생기는데, 아프지는 않다.
  • : (1)조선 세종 때의 <보태평지악> 열한 곡 가운데 다섯째 곡.
  • : (1)훌륭하고 아름다운 명예.
  • : (1)‘추녀’의 방언 (2)고약한 냄새가 나고 더러움.
  • : (1)어른 앞으로 빨리 달려 나감.
  • : (1)대중 앞에서 음악, 무용, 만담, 마술, 쇼 따위를 공연함. 또는 그런 재주. (2)연의 꽃술. (3)훈련이 잘된 군사.
  • : (1)‘멍에’의 방언
  • : (1)죄악과 번뇌 따위가 뒤섞인 여러 가지 더러움. (2)여러 가지 잡스러운 기예(技藝).
  • : (1)육예(六藝)를 배움. (2)‘기술’과 ‘예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3)‘기예하다’의 어근. (4)‘기어이’의 방언
  • : (1)자수, 뜨개질 따위의 손으로 하는 재주. (2)곡식이나 나무 따위를 심어 가꿈. (3)‘숭어’의 방언
  • : (1)‘음예하다’의 어근. (2)하늘이 구름에 덮여 어두움. 또는 침침한 그늘.
  • : (1)지저분하고 더러움. 또는 그런 것. (2)존대하는 체하며 공정하지 못하게 굶. (3)거드름을 피우며 흘겨봄.
  • : (1)정숙하다는 소문.
  • : (1)남쪽 변방의 땅.
  • : (1)왕족이나 귀족의 자손. (2)세상에 드러난 명예.
  • : (1)여러 가지 기예.
  • : (1)명예를 구함. (2)흔들흔들 움직임. (3)이리저리 거닒. (4)‘요여’의 방언
  • : (1)멋대로 편안히 즐기며 놂.
  • : (1)눈병의 하나. 눈동자 안에 있는 렌즈체가 흐려져서 얼음처럼 희고 윤기가 나며 심하면 시력이 나빠져서 물체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 : (1)황제의 혈통. (2)멀리 떨어진 지방. 또는 먼 외국. (3)‘황예하다’의 어근.
  • : (1)한 부재의 구멍에 끼울 수 있도록 다른 부재의 끝을 가늘고 길게 만든 부분.
  • : (1)줄타기, 곡마, 요술, 재주넘기, 공 타기 따위의 연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아슬아슬할 정도로 위태로운 동작이나 상태.
  • : (1)고대 중국 교육의 여섯 가지 과목.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를 이른다.
  • : (1)‘누에’의 방언
  • : (1)삼한 때에, 군장(君長)을 이르던 칭호의 하나.
  • : (1)칭송하고 기림.
  • : (1)‘등에’의 방언
  • : (1)‘형’의 방언
  • : (1)썩고 더러움. (2)자신의 세대에서 여러 세대가 지난 뒤의 자녀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좋은 명성이나 명예. (2)‘영예하다’의 어근. (3)영광스러운 명예.
  • : (1)세상 사람들이 모두 칭찬함. (2)세상의 명예.
  • : (1)‘탁예하다’의 어근.
  • : (1)학문과 예능을 통틀어 이르는 말. (2)문장과 기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상여’의 방언
  • : (1)‘누에’의 방언
  • : (1)제사를 마치고 축문(祝文)과 폐백(幣帛)을 파묻을 때에 헌관(獻官)과 집례(執禮)가 이를 지켜보던 일. (2)가뭄에 비를 몹시 기다린다는 뜻으로, 간절히 원함을 이르는 말.
  • : (1)훼방과 칭찬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무당’의 방언 (2)무도에 관한 재주. (3)잡초가 무성하여 거칠고 지저분함.
  • : (1)글씨를 붓으로 쓰는 예술. (2)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 사관, 비서성 따위에 속한 구실아치. (3)서자(庶子)의 후예. (4)‘산약’의 북한어.
  • : (1)잠을 자면서 자기도 모르게 중얼거리는 헛소리. (2)하루살이목의 굽은꼬리하루살이, 무늬하루살이, 밀알락하루살이, 별꼬리하루살이, 병꼬리하루살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애벌레는 2~3년 걸려 성충이 되는데 성충의 수명은 한 시간에서 며칠 정도이다.
  • : (1)높이어 칭찬함. (2)‘상어’의 방언 (3)‘상여’의 방언
  • : (1)가구나 나무 그릇 따위에 윤을 내기 위하여 옻을 바르는 일.
  • : (1)난의 잎을 길러 아름답게 가꾸는 일. 또는 그런 기술이나 방법.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예로 시작하는 단어 (2,028개) : 예, 예가, 예각, 예각 갈고리, 예각되다, 예각 삼각 함수, 예각 삼각형, 예각성, 예각 세모꼴, 예각하다, 예감, 예감되다, 예감하다, 예거, 예거치, 예거치형, 예거하다, 예건, 예건 사일리지, 예건 처리, 예게보다, 예겨듣다, 예겨보다, 예격, 예견, 예견 가능성, 예견 가능성설, 예견감, 예견 능력, 예견되다 ...
예로 시작하는 단어는 2,0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예로 끝나는 두 글자 단어는 15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